1. 이름: 장 엡슈타인 (Jean Epstein, 1897~1953) 2. 생애와 시대적 배경:
1) 1897 년 러시아령 폴란드 바르샤바 출생
2) 1908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가족과 함께 스위스로 이주
3) 프랑스의 리옹 의과대학에 입학. 재학 중 오귀스트 뤼미에르의 비서이자 통역관으로 활동
➔ 영화의 창시자로 불리는 뤼미에르 형제를 만난 것이 영화에 깊이 빠져드는 계기가 됨. 4) 1922 년 첫 영화 파스퇴르(Pasteur)를 연출.
5) 1923 년 프랑스의 영화사 파테(Pathé)와 계약.
6) 1924 년 알렉상드르 카멘카의 알바트로스사에 취직.
7) 1926 년 장 엡슈타인 영화사를 설립.
8) 1940 년대 초 나치의 비밀경찰에 붙잡히지만, 적십자사의 개입으로 추방을 면함.
➔ 전쟁 이후, IDHEC(프랑스 고등 영화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침. 9) 1953 년 뇌출혈로 사망.
3. 주요 작품
1) 《파스퇴르》(1922)
프랑스의 화학자이자 미생물학자인 루이 파스퇴르(1822-1895)의 생애를 영화로 담은 다큐 드라 마.
2) 《여섯번 반시간 열한번째》(1927)
엡슈타인의 영화경력에서 새로운 전환을 알리는 작품으로 복잡한 내러티브 구조에 대한 실험이 돋보이는 작품.
3) 《삼면거울》
비선형적인 구성과 플래시백 기법을 사용하여 과거와 현재를 마치 꿈 같은 연속체로 표현하고 있 는 작품.
4. 작품 소개: <어셔가의 몰락>(1928)
1) 영화사적 의미:
영화 형식상의 도전을 통해, 원작 소설의 우울과 집착이 가득 찬 초자연적인 분위기를 지닌 화면을 창조. 다양한 영화 기법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이미지의 혁신을 일구어냄. 〈안달루시아의 개〉(1928)라는 기념비적인 아방가르드 영화를 만들어낸 루이스 브뉘엘이 각색을 담당하고 조감독으로 참여하였음.
2) 주제: 불안에 잠식된 인간의 광기, 불멸에 대한 열망.
줄거리: 파리 남부의 늪지대를 배경으로 황폐한 집에서 벌어지는 괴이한 사건. 에드가 엘런 포의 <어셔가의 몰락>(1839)을 각색하였으나, 소설의 내러티브를 그대로 담아내지 않음. 근친에 가깝던 남매의 관계를 부부 관계로 변경, 원작에서 중요한 소재인 것들을 생략.
3) 주목할 부분: 영화의 정서를 극대화하는 형식.
마들린의 초상화를 그리는 로더릭과 생기를 잃어가는 마들린. - 마들린의 관을 든 로더릭 일행이 묘지로 향하는 장면.
- 폭풍우가 치는 날 밤, 로더릭과 앨런의 체험.
5. 주요 저작
1) 《안녕, 영화》 [Bonjour, Cinéma] (1921)
- 엡슈타인의 첫번째 저작. 엡슈타인의 영화 세계는 만들기(실제)에 앞서 글쓰기(이론)에서 시작했다.
2) 《에트나 산상(山上)의 영화론》 [Le Cinématographe vu de l'Etna] (1922)
3) 《영화의 정신》 [Esprit du Cinéma] (1955)
■ 포토제니 [photogénie]
- 느껴지지만 설명되지 않고, 무언가를 구성하지만 분석할 수는 없는 영화이미지의 본질적 특성이자 영화예술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요소.
- 영화의 정신적, 유동적, 인격적인 면에 대한 부각을 통해 영화이미지의 비물질적이고 비가시적이며 비결정적인 특질을 강조.
■ 사유기계
- 사유 + 기계: 정신과 기술의 조합
- 영화는 영화의 법칙으로 완전히 새롭게 창조된 현실을 통해 시간을 사유함으로써 시간의 진실을 드러내는 기계.
6. 평가
1) 창작과 이론 양 분야에서 모두 성취를 이룬 영화감독이자 영화이론가.
2) 포토제니 개념의 확립을 통해 동시대, 후대 이론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침.
➔벨라 발라즈의 상 개념, 보리스 예이헨바움의 자움 개념, 롤랑 바르트의 푼크툼 개념 등.
-
3) 자신의 이론에 기반해 수십편에 달하는 영화를 연출한 성공한 영화감독.
-
4) 자국에서 제작되던 기존 영화들과 차별되는 혁신적인 영화를 만들기 위해 이미지에
비가시적인 세계, 주관적 인상을 부여하려고 노력함.
-
5) 영화를 만들면서 새로운 매체의 메커니즘을 적극적으로 살폈고, 생소한 질료들을 과감히
조합하여 그만의 고유한 세계를 창조함.→인상주의자적 면모를 지닌 창작자이면서도
영화가 지닌 미학적인 잠재력을 탐구한 선구자.
-
6) <어셔가의 몰락>에서의 영화 형식상의 도전으로 1930 년대 이후 미국 스튜디오 공포영화에
많은 영향을 끼침.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과 이미지, 그리고 영화이미지 : 베르그손 (0) | 2020.04.14 |
---|---|
포토제니 (0) | 2020.04.13 |
지가 베르토프 (0) | 2020.04.13 |
앙리 베르그손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