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각과 이미지, 그리고 영화이미지 : 베르그손 요약 앙리 베르그손 (Henri Bergson, 1859-1941) 영화에 내재된 근대 기계주의적 사고의 틀을 비판 지속 중인 실재를 순간적 이미지들의 합으로 재구성 후대에 다양한 영화적 사유의 원천을 제공 이미지란 물질 = 의식이며 사물 = 표상 이미지에 대한 ‘지각’에는 반드시 ‘정서’와 ‘기억’이 개입 근대 기계주의적 지각과 영화적 환영 근대 과학의 기계주의적 지각구조 : 시간과 운동의 규칙적 분할 지성이 주재하는 우리의 일상적 지각구조 인간의 지성은 행동의 목적과 결과에만 주목 : 정지된 순간의 이미지들만을 선택 우리의 지성은 ‘생성으로부터 상태들만을, 지속으로부터 순간들만을’ 파악한다. 근대의 과학 및 기계주의적 사고는 이러한 일상적 지각구조를 심화시킨다. 근대 과학은 운도을 무수한 정지상태들로.. 더보기 포토제니 포토제니 (Photogenie), 사진이 잘 받는다는 말이자, 영화에서는 화면발을 잘 받는 배우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포토제니의 세가지 특성이 있는데요. 바로 정신정, 운동성, 인격성 입니다. 정신성 : 영화이미지에 내재된 비결정성 운동성 : 영화이미지에 내재된 유동성 또는 가변성 인격성 : 영화이미지에 만물에 불어넣는 영혼과 생명 포토제니에 대해서 얘기하기 위해서 알아야할 중요한 두 명의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장 엡슈타인(Jean Epstein)과 루이 델륄(Louis Delluc)입니다. 먼저 장 엡슈타인은 아방가르드 영화감독이자 영화이론가입니다. 엡슈타인은 포토제니와 사유기계 개념을 정립하면서 영화 창작과 영화 이론 두 분야에 있어서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앱슈타인은 .. 더보기 장 엡슈타인(Jean Epstein) 1. 이름: 장 엡슈타인 (Jean Epstein, 1897~1953) 2. 생애와 시대적 배경: 1) 1897 년 러시아령 폴란드 바르샤바 출생 2) 1908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가족과 함께 스위스로 이주 3) 프랑스의 리옹 의과대학에 입학. 재학 중 오귀스트 뤼미에르의 비서이자 통역관으로 활동 ➔ 영화의 창시자로 불리는 뤼미에르 형제를 만난 것이 영화에 깊이 빠져드는 계기가 됨. 4) 1922 년 첫 영화 파스퇴르(Pasteur)를 연출. 5) 1923 년 프랑스의 영화사 파테(Pathé)와 계약. 6) 1924 년 알렉상드르 카멘카의 알바트로스사에 취직. 7) 1926 년 장 엡슈타인 영화사를 설립. 8) 1940 년대 초 나치의 비밀경찰에 붙잡히지만, 적십자사의 개입으로 추방을 면함. ➔ 전쟁 .. 더보기 지가 베르토프 1. 이름: 지가 베르토프 (Dziga Vertov, 1896~1954 ) 본명: 데니스 아르카비디치 카우프만 (Denis Abramovich Kaufman) 2. 생애와 주요 경력 1) 1896년 러시아(훗날 폴란드) 비알리스토크 출생 2) 1915년 ‘빙빙 도는 팽이’라는 뜻의 단어를 합쳐 ‘지가 베르토프’라는 뜻의 3) 1917년 모스크바 영화 위원회의 미하일 콜초프의 조수로 기용됨. - 영화계 인생 시작 4) 1922년 ‘영화-눈’이라는 뜻의 ‘키노키’ 집단 결성. 5) 1926년 작품 이후 스튜디오에서 해고 및 키노키 해체 6) 1937년 작품 이후 스탈린의 영향력으로 영화제작소에서 해고 7) 막시즘과 레닌의 이론을 정기적으로 교육받다가 이후 1954년에 암으로 사망. 3. 주요 작품/저작 1).. 더보기 앙리 베르그손 1. 이름: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 1859~1941) 2. 생애와 시대적 배경: 1) 프랑스 파리 출생 - 유대인 작곡가인 아버지와 영국인 어머니 - 소설가 마르셀 프루스트와 친척 관계 2) 고교 수학경시대회 1등을 하는 등 엘리트로 성장 3) 파리 고등사범학교 졸업, 소르본 대학교 철학박사 4) 콜레주 드 프랑스 철학 교수 5) 국제 연맹 국제협력위원회(유네스코의 전신) 의장 6) 레지옹 도뇌르 명예훈장, 노벨 문학상 수상 7) 1941년 폐렴으로 사망 3. 주요 저작 - 베르그손의 평생 4권의 주저만을 남김(집필 에피소드) 1)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1889): 의식의 지속 - 의식은 양적으로 측정될 수 없는 끊임없는 질적 변화다. 2) 『물질과 기억』(1896.. 더보기 이전 1 다음